전체로그
로그 파일 | 설명 |
/var/log/messages | 시스템에서 발생한 표준 메시지 root만 읽을 수 있음 날짜 및 시간, 메시지가 발생한 호스트명, 메시지를 발생시킨 내부 시스템이나 응용프로그램의 이름, 발생된 메시지 등이 콜론(:)으로 구분되어 순서대로 기록 |
/var/log/secure | 인증, 접속과 관련된 로그 로그인 (telnet, ssh), tcp_wrappers. xinetd |
/var/log/dmesg | 시스템이 부팅할 때 출력되었던 로그 보통 커널 부트 메시지 로그라고 한다 |
/var/log/maillog | sendmail, dovecot 등 메일 관련 작업 |
/var/log/xferlog | FTP 접속과 관련 작업 |
/var/log/cron | cron 관련 |
/var/log/boot.log | 부팅 시 발생되는 메시지 부팅 시 동작하는 데몬 관련 정보 |
/var/log/lastlog | telnet, ssh 를 이용해서 접속한 각 사용자의 마지막 정보가 기록 바이너리 파일 lastlog 명령 |
/var/log/wtmp | 콘솔, telnet, ftp 등을 이용해서 접속한 사용자의 기록 바이너리 파일 last 명령 |
/var/log/btmp | wtmp와 반대 접속 실패 바이너리 파일 lastb 명령 |
/var/log/utmp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 상태정보
w, who, finger
/var/log/wtmp 사용자의 성공한 로그인/로그아웃
last [option]
옵션 | 설명 |
-f 파일명 | 로그 로테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기본 로그 파일 이외의 다른 파일의 기록을 볼 때 사용 |
-n 숫자 | 가장 최근부터 해당 숫자값 만큼만 출력 -숫자 옵션과 동일 |
-t YYYYMMDDHHMMSSS | 지정한 시간 이전에 로그인한 기록 |
-R | ip주소나 호스트명을 출력하지 않는다 |
-a | 호스트명이나 ip주소 필드를 맨 마지막에 출력 일반적으로 -d 옵션과 사용 |
-d | 리눅스는 외부에서 접속한 기록을 ip주소 뿐만 아니라 호스트 이름도 지정하는데, 이 옵션을 사용하면 호스트 이름이 존재하는 경우엔 ip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
-F | 로그인 및 로그아웃 시간을 출력 |
-i | 접속한 호스트의 ip주소로만 출력 |
-w | 사용자의 전체 이름이나 전체 도메인 이름을 전부 출력 |
user의 로그인 정보
last user
시스템 재부팅 정보
last reboot
최근 재부팅 정보 하나
last -1 reboot
/var/log/lastlog 가장 최근에 성공한 로그인 기록 (모든 계정)
lastlog
[-u 계정명] 으로 사용자를 지정하여 확인 가능 (--user)
[-t 일수] 해당 일수 이내에 접속한 기록 확인 가능 (--time)
[-b 날짜 수 ] 날짜 전 정보 (--before)
user의 최종 로그 기록
lastlog -u user
최근 3일 내 로그인한 사용자의 기록
lastlog -t 3
최근 3일 이전 로그인
lastlog -b 3
/var/log/btmp 실패한 로그인 시도
lastb
옵션 | 설명 |
-f | 로그인 내역을 지정 파일에서 로드 |
-a | 호스트 이름을 마지말 열에 표시 |
-d | 호스트를 호스트 이름으로 표시 |
-i | 호스트를 IP 주소로 표시 |
-n [숫자] | 숫자 건수 보기 |
-s | 역순으로 하기 위해 구분 기호를 지정 |
-x | 종료 런레벨 변경 내역보기 |
-R | 호스트 이름을 표시 |
- [숫자] | 숫자 건수로 보기 |
user의 로그인 실패 기록
lastb user
가장 최근에 로그인 실패한 3개 기록
lastb -3
/var/log/dmesg
리눅스가 부팅될 때 출력되는 모든 메세지 기록
부팅 시의 에러나 조치사항을 보려면 이 파일을 참조
/var/log/messages
logger 명령어
/var/log/message 파일에 원하는 메시지(로그)를 기록할 수 있는 명령어
-i : 각각의 라인마다 logger의 프로세스 ID를 기록
-s : 시스템 로그뿐만 아니라 표준 출력으로도 메시지를 기록
-f 파일명 : 지정한 파일에 로그를 기록
1. lastlog -t 3
2. last ihduser
3. lastb kaituser
4. lastlog -u kaituser
2101
1. /var/log/messages
2. /var/log/secure
3. last
4. lastb
2002
1. last
2. lastlog -u
3. lastb
4. lastb -3 또는 last -n 3
2001
8. 시스템 로그인에 실패한 정보를 현재 로그 파일의 기록부터 지난 로그 파일 순으로 확인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 괄호 )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로그인에 실패한 정보를 출력한다.
# ( 1 )
나. 지난 로그 파일의 기록을 확인한다.
# ( 1 ) ( 2 ) /var/log/btmp-20200331
조건
1번은 관련 명령어만 기입한다.
2번은 1번에 사용되는 명령어의 옵션만 기입한다. 명령어가 틀리면 채점하지 않는다.
1. lastb
2. -f
1902
1. /var/log/secure
2. /var/log/maillog
1902
1. /var/log/boot.log
2. /var/log/maillog
dovecot : 전자메일서버
1901
1. last -2 reboot (-n -2)
2. last tty3 (3)
3. lastb kaituser
4. lastlog -u ihduser
1802
1. lastb -f
2. /var/log/btmp
3. last -f
4. /var/log/wtmp
1702
1. logger
2. -i
참고 :
https://starrykss.tistory.com/1809
https://flightsim.tistory.com/235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SELinux, getenforce, setenforce (0) | 2022.10.30 |
---|---|
[리눅스] logrotate 로그 파일 관리 (0) | 2022.10.30 |
[리눅스] 시스템 로그 (0) | 2022.10.29 |
[리눅스] LVM, 물리-논리 볼륨 (0) | 2022.10.29 |
[리눅스] modprobe (1) | 2022.10.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