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U : 운영체제의 하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모음집
GRUB는 grand unified bootloader 의 약어로서 GNU 하에서 개발된 멀티 부트 로더
부트로더란 리눅스가 부팅되기까지 부팅의 전과정을 진행하는 부팅 전문 프로그램을 의미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부트로더는 LILO(linux loader)가 있었는데 현재 잘 안 쓰이고 현재는 grub
LILO는 리눅스라는 운영체제에 한정되어 사용되었던 부트로더 grub는 윈도우와 리눅스 등 모두 사용 할 수 있는 멀티 부트로더
GRUB는 하드디스크의 부트섹트인 MBR(Master Boot Record)에 저장된다.
시스템에 전원이 공급되면 가장 먼저 ROM-BIOS에서 시스템 제어권을 가지고 장착된 하드웨어에 대한 기본적인 점검과 인식을 한다. 이 과정이 모두 끝나고 나면 ROM-BIOS는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부트섹트인 MBR에 있는 부트로더에게 그 제어권을 넘겨준다.
GRUB 에서 사용하는 부팅 환경설정파일 /boot/grub/grub.conf
centos 7 버전에서 사용되는 GRUB 환경 설정 파일 - /boot/grub2/grub.cfg
- default
grub 초기 부팅화면에서 부팅할 메뉴를 선택하지 않았을 경우 사용할 기본 부팅메뉴를 선택해 둔 것
각 메뉴들의 번호는 0부터 시작하고 차례로 지정하면 된다.
- timeout
GRUB초기부팅화면에서 지체할 시간을 초단위로 설정한것이다. 즉 GRUB초기화면에 나오는 부팅초기화면에서 부팅메뉴를 선택하는데 이때의 대기시간을 초단위로 설정한것이다. 만약 이 시간이 경과할 동안에 선택하지 않는다면 기본부팅메뉴(default항목)로 부팅한다.
- splashimg 항목
GRUB초기 부팅화면에 나타나는 배경이미지를 설정해둔것이다. 부팅시 초기화면에서 뜨는 GRUB의 배경이미지를 변경하려면 이 파일명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면 된다. 물론 실제 이미지파일을 만들어 넣어줘야 한다. 위의 예에서는 이미지 기본값이 설정된것으로 (hd0,0)위치에 있는 /grub/splash.xpm.gz 이미지파일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hd0,0)은 첫번째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을 의미한다.
- password 항목
부팅시 GRUB모드로 들어가기 위한 암호화된 패스워드이다. 만약 password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패스워드 없이 바로 GRUB모드로 들어갈수 있다. 반대로 password항목이 있고 암호화된 패스워드가 존재한다면 정확한 패스워드를 입력해야만 GRUB모드로 들어갈수 있다.
- title 항목
GRUB부팅화면의 메뉴에 나타나는 제목이며 그 메뉴의 간단한 설명문(comment)을 적어도 무방하다. 이 제목은 관리자의 임의대로 지정할수 있다.
- root 항목
해당 부팅항목의 루트디바이스를 설정하는 GRUB명령어이다. 즉 해당메뉴로 부팅하고자 할때에 사용할 루트디아비스를 지정한 것이다. 루트디바이스를 설정하는 형식은 다음과 같다.
root (하드디스크디바이스명,부트파티션명)
위의 예에서"root (hd0,0)"의 의미는 첫번째 하드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이 루트디바이스라는 것을 지정한 것이다.
- kernel 항목
해당 메뉴로 부팅할때에 커널의 이미지파일을 경로로 지정한 것이다. 그 뒤에는 부트파라미트가 올수 있고 그 다음에는 루트파티션의 디바이스명을 지정한다.
위의 예에서 보이는 "kernel /vmlinuz-2.6.18-308.el5 ro root=LABEL=/" 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해당 메뉴로 부팅할 경우에 메모리로 로드할 kernel의 이미지는 "/vmlinuz-2.6.18-308.el5" 라는 커널이라는 의미이다.
- initrd 항목
SCSI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지정해야하는 항목으로 해당메뉴로 부팅할 때에 사용할 initrd이미지를 지정해 주는 것이다. 참고로 SCSI디스크를 부팅디스크로 사용할 경우에 initrd항목이 설정되지 않으면 "kernel panic"에 빠질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위의 예에서 보이는 "initrd /initrd-2.6.18-308.el5.img"의 의미는 initrd로 사용할 이미지 파일이 "/initrd-2.6.18-308.el5.img"라는 것을 의미한다.
- fallback 항목
이 항목은 위의 예에서는 없으나 grub.conf파일내에서 자주 사용되는 항목이다. 앞의 default항목에서 설정한 기본 부팅메뉴로 부팅이 되지 않았을경우, 즉 기본부팅메뉴로 부팅실패시 다음으로 부팅할 부팅항목을 설정해둔것이다.
1902
1. /boot/grub/grub.conf (/etc/grub.conf)
2. password
3. --md5
참고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NIS (0) | 2022.11.16 |
---|---|
[리눅스] chattr, lsattr (0) | 2022.11.16 |
[리눅스] TCP Wrapper (0) | 2022.11.14 |
[리눅스] ssh 접속 (0) | 2022.11.14 |
[리눅스] firewall-cmd, 방화벽 (0) | 2022.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