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리눅스] usermod, useradd 명령어 정리

by 깅민 2022. 10. 19.

usermod

 

옵션 설명
-d (--home) 홈 디렉토리 변경(변경할 디렉토리는 생성돼 있어야한다. 만들어 주지 않는다) (directory)
-m 기존 파일 및 디렉토리를 옮겨준다. (move)
-l (--login) 사용자의 아이디를 변경한다.
-c 사용자 정보 입력 혹은 변경 (comment)
-e 계정만기일 변경 YYYY-MM-DD, MM/DD/YY 형태로 저장 (expire)
-g 사용자의 그룹 변경
-G 추가로 다른 그룹에도 속하게
-s 사용자의 셸 변경
-u 사용자의 UID 값 변경
-f 패스워드 만기일이 지난 후 패스워드에 Lock을 설정할 유예기간 설정
-a (--append) -G 옵션과 같이 사용, 기존의 2차 그룹 외 추가로 2차 그룹을 지정할 때
-p /etc/shadow 2번째 필드인 암호화된 패스워드 값을 변경할 때 사용, 암호화된 값을 지정해야 한다.
-L (--lock) 사용자의 패스워드에 Lock, 로그인 제한
-U (--unlock) 사용자의 패스워드 Lock 해제

 

useradd

옵션 설명
-D /etc/default/useradd 에 설정된 유저 추가와 관련된 기본 사항들을 보여줌, (으로 설정함)
-b 이 위치 아래에 사용자 이름으로 된 홈디렉토리가 생성
-e 계정 만료일 지정
-d 이 위치 아래에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
-f 비밀번호 만료일 지정
-g 그룹
-G 추가 그룹
-h 도움말
-M 홈 디렉터리 생성x
-s 사용자 셸 지정
-u UID 값 지정

 

1. -l 아이디 변경

기존 아이디 : old

변경할 아이디 : new

 

usermod -l new old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변경해주지 않기 때문에, 추가로 변경해줘야 함 (-d)

 

grep new /etc/passwd 로 확인

 

2. -d 디렉토리 변경

default 홈 디렉토리는 /home/username

아이디 변경시 /home/old 에서 /home/new 로 변경해야함

 

usermod -l new -d /home/new -m old

 

grep new /etc/passwd 로 확인

 

3. -c 코멘트 달기

usermod -c "test comment" new

grep new /etc/passwd 로 확인

 

4. -e 유효기간 설정

usermod -e 2022-10-19 old

chage - 사용자 패스워드 관리 명령어, 패스워드 유효기간, 계정 유효기간 확인

chage -l old

 

5. -s 셸 변경

usermod -s /bin/false old

old 사용자의 셸을 /bin/false로 변경, 하지만 존재하는 셸이 아니므로 일시적으로 사용자 계정 제한할 때 사용

 

/etc/skel

리눅스에서 새로운 사용자를 생성했을 때, 새 사용자를 위한 기본 폴더를 참고하는 디렉터리

 

user1 사용자를 만든 후

/etc/skel에 www라는 폴더가 있다면

/home/user1에는 www라는 폴더가 생긴다.

 

/etc/login.defs

사용자의 계정의 설정과 관련된 기본 값을 정의한 파일

사용자의 패스워드 지정 시에 적용되는 암호화 알고리즘의 종류를 확인하려고 할 때

 

/etc/default/useradd

useradd명령어로 사용자 계정을 추가할 때 사용하게되는 기본정보를 가지고 있음

 

/etc/passwd

리눅스의 계정정보를 담은 텍스트 파일

(이름과 달리 패스워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음)

 

/etc/shadow

사용자 계정에 대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저장

 


1402회

ihd의 그룹 아이디를 800번으로 변경

usermod -g 800 ihd

 

2102

  1. mkdir
  2. /etc/skel/www
  3. usermod
  4. -G admin

 

2201

1. 다음은 사용자를 생성 및 관리하는 과정이다. 조건에 맞게 (괄호) 안에 알맞은 내용을 적으시오.

가. ihduser 사용자를 생성하는데, 주 그룹은 kait로 추가 그룹은 ihd로 지정한다.
useradd ( 1 ) kait ( 2 ) ihd ihduser

나. ihduser 사용자를 추가로 linuxmaster라는 그룹에 포함한다.
( 3 ) ( 4 ) ihduser

조건
1번 부터 2번에는 명령어의 옵션만 하나씩 기재한다.
3번에는 관련 명령어만 기재한다.
4번에는 3번 명령어의 옵션만 기재하는데, 다수의 옵션을 사용할 경우에도 한 번에 기재한다. (예: -a -b -c)
실행에 필요한 관련 그룹은 미리 생성되어 있고, 명령어가 틀린 경우 옵션 부분은 배점하지 않는다.

-g

-G

usermod

-a -G linuxmaster

 

 

2101

정답

1. useradd

2. -D -b /home2

3. -D -s /bin/csh

4. /etc/default/useradd

 

 

1902

1. usermod

2. -l kaituser

3. -d /home/kaituser

4. -m

 

 

1802

1. /etc/login.defs

2. /etc/skel

3. /etc/default/useradd

4. /etc/login.defs


 

참고 : https://jhnyang.tistory.com/m/25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