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리눅스] 파일(4) - mkfs, mke2fs, dumpe2fs 명령어

by 깅민 2022. 10. 19.

1. 파일 시스템 구조 -  https://gingmin.tistory.com/20

2. 마운트, 디스크 추가 - https://gingmin.tistory.com/21

3. 마운트, 파티션 나누기, fdisk -  https://gingmin.tistory.com/22

4. mkfs 명령어 -  https://gingmin.tistory.com/19

5. 마운트 자동등록 fstab, df, UUID https://gingmin.tistory.com/23

 

4. 파일 시스템 포맷

 

mkfs : Make File System

 

root만 사용 가능

옵션 설명
-t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 유형 지정
리눅스 파일 시스템인 ext3, ext4 등 지정
지정하지 않으면 ex2
-c bad block 체크 후 파일 시스템 구축
-v 결과를 상세히 출력 (verbose)
-f 포맷하려는 디스크에 다른 파일 시스템이 포맷되어 있으면 강제로 덮어씌우는 옵션 (force)

 

mkfs -t [파일 시스템][옵션][디스크 파티션]

 

간소화 명령어

mkfs.[파일 시스템][옵션][디스크 파티션] mkfs.ext2 mkfs.ext3 mkfs.ext4

 

/dev/sdc1 xfs 로 파일 시스템 생성

mkfs -t xfs /dev/sdc1
mkfs.xfs /dev/sdc1

 


 

  1. mkfs.xfs
  2. blkid

 

mke2fs

ext2, ext3, ext4 파일 시스템을 만드는 명령

최근 리눅스 배포판에서 mkfs 명령 실행 시 실제 사용되는 명령어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하지 않으면 ext2로 생성됨

 

mke2fs [option] [장치명]

 

옵션 설명
-j 저널링(Journaling) 파일 시스템인 ext3로 만듦
-t fs_type 파일 시스템 유형을 지정하는 옵션
ex3, ex4 등으로 지정하면 됨
-b block_size 블록 사이즈를 지정하는 옵션
-R
raid_options
RAID 관련 옵션
-R 다음에 argument=값 형태로 지정
-T usage_type I-node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 옵션
RHEL 4 까지는 fs_type에 news, largefile, largefile4를 지정할 수 있음
I-node의 크기
news : 4k
largefile : 1M
largefile4 : 4M
RHEL 5에서는 /etc/mke2fs.conf 크기를 지정할 수 있음

 

/dev/sbb1의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3로 생성

mke2fs -j /dev/sdb1

 

/dev/sdc1 장치의 파일 시스템을 ext4로 생성

mke2fs -t ext4 /dev/sdc1

 

RAID장치인 /dev/md0 를 ex3 파일 시스템으로 생성하고, 블록 사이즈를 4096 바이트로 설정함.

추가로 stripe 당 블록 사이즈를 32 바이트로 설정함

mke2fs -j -b 4096 -R stripe=32 /dev/md0

 

/dev/hda7을 ext3로 만들고, I-node의 크기를 1MB로 지정

mke2fs -j -T largefile /dev/hda7

 

dumpe2fs 파일 시스템 정보 출력

dumpe2fs 
  • "dump filesystem information"
  • 파일시스템 정보 출력
  • 파일시스템의 블록 정보를 보여주는 리눅스 명령어
  • 지정한 파일시스템의 슈퍼블록, 블록그룹 정보 출력

 

1702

다음은 파일 시스템 생성한 후에 관련 정보를 확인하는 과정이다. ( 괄호 ) 안에 알맞은순서를 넣으시오.

 

[root@ihd ~]# mke2fs ( ① ) ext4 ( ② ) 1024 /dev/sdb1
[root@ihd ~]# ( ③ ) /dev/sdb1

■ 조건
 - /dev/sdb1 디바이스의 블록 사이즈 단위를 1024byte로 지정하고 ext4 파일시스템으로 생성한다. 
- 생성된 파일시스템의 블록 사이즈 정보를 확인한다.

 

1. -t

2. -b

3. dumpe2fs

 

 

1802

1. blkid 또는 dumpe2fs 또는 blkid device

2. dupme2fs 또는 blockdev --getbsz 또는 blockdev --report


 

참고 :

https://zetawiki.com/wiki/%EB%A6%AC%EB%88%85%EC%8A%A4_dumpe2fs

https://it-serial.tistory.com/m/entry/Linux-%ED%8C%8C%EC%9D%BC-%EC%8B%9C%EC%8A%A4%ED%85%9C-%ED%8F%AC%EB%A7%B7mkfs-mke2fs-mount-%EB%AA%85%EB%A0%B9%EC%96%B4-%E2%91%A3

https://starrykss.tistory.com/m/1670

댓글